-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이해 - 한국도시설계 변천사부동산스터디 2024. 3. 10. 20:56반응형
1. 1960년대 후반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도시 연구의 필요성 증대
- 서울대 행정대학원내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신설
- 건축과 도시계획의 분리(*법은 1962년도에 분리)
2. 1980년 건축법에 도시설계제도 도입
- 건축법 제8조의2(도심부내의 건축물에 관한 특례)
☞ 제1기 도시설계 ; 종로․세종로 등 도심부와 주요 간선가로변
3. 1991년 ‘도시설계’를 건축법상 하나의 장으로 체계화 <1991.5.31.>
- 도시설계 재정비 명시
- 도시계획법(영)에 ‘도시설계지구’를 하나의 용도지구로 지정근거 신설
상세계획제도 도입- 도시계획법 제20조의3(상세계획구역의 지정)
☞ 제2기 도시설계 ; 도시 중심지체계에 따른 용도지역 조정
4. 1999년 도시설계지구 지정대상 명시
- 재개발사업등 완료후 10년 경과지역 도시설계지구지정 의무화
☞ 제3기 도시설계
5. 2000년 도시계획법 전면개편에 따라 건축법에서 도시설계 삭제하고 ‘도시설계’와 ‘상세계획’의 통합
⇒ ‘지구단위계획’제도로 명칭변경
6. 지구단위계획의 성격
◦ 평면적 토지이용계획과 입체적 시설계획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계획
◦ 도시의 기능이나 미관의 개선
◦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계획
◦ 장기적인 목표로 한 계획
◦ 다른 도시계획과 연계한 계획
◦ 다른 개발사업과 연계한 계획
◦ 기반시설부담구역과 연계한 계획
반응형'부동산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재건축 진행절차 (43) 2024.03.09 개발자산관련 NPL투자- 인허가된 사업지 (53) 2024.03.08 IMF와 리먼의 경험으로 본 NPL시장 예측 (37) 2024.03.07 NPL채권 - 위기 뒤에 기회? (42) 2024.03.06 재건축에서 조합방식과 신탁방식 비교 (5)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