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
-
개발자산관련 NPL투자- 인허가된 사업지부동산스터디 2024. 3. 8. 11:07
PF 부실 우려 속에 NPL 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기존의 담보채권에 국한되지 않고 브릿지론을 중심으로 한 NPL펀드의 수요도 증가 그러나 NPL 유입·배당 관련 자료의 상당수가 실물자산을 중심으로 작성돼 있어 개발 부지에 대한 NPL 현황 파익이 쉽지 않은 실정디다. 개발부지를 대상으로 한 NPL 유입을 검토하고자 개발 NPL 관련 현황을 정리해봤다. 1. NPL (부실채권) 협상의 주체인 대주단 파악 대주단은 일반적으로 은행, 저축은행 또는 캐피탈사로 구성. 대주단은 선순위와 후순위로 구분. 선순위 채권단은 원금보존 혹은 일정 부분이자까지 고려해 협상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후순위 채권단은 원금에서 일정 부분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채권을 매각하려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음(배당순서가..
-
NPL채권 - 위기 뒤에 기회?부동산스터디 2024. 3. 6. 21:40
NPL채권(Non-Performing Lone) 금융기관의 3개둴이상 연체된 채권을 말함. 3개월이 되지 않았지만 회수 불가능한 경우. (금융기관은 자산의 건전성 유지를 위하여 차주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거래내용을 감안하여 자산의 건정성을 5단계로 분류하는데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3개월 이상 연체되면 고정이하로 분류) NPL채권의 종류 1. 담보부 NPL- 부동산 담보로 대출을 받은 채권이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 여신 2. 무담보부 NPL- 담보없이 대출을 받은채권이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 여신 금융기관이 NPL을 매각하는 이유 1. 고정이하 여신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 요건 충족 (금감원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 8%미만, BIS자기자본 비율 8%이상) 2. 관리비용의 절감과 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