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허가된 NPL투자
-
개발자산관련 NPL투자- 인허가된 사업지부동산스터디 2024. 3. 8. 11:07
PF 부실 우려 속에 NPL 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기존의 담보채권에 국한되지 않고 브릿지론을 중심으로 한 NPL펀드의 수요도 증가 그러나 NPL 유입·배당 관련 자료의 상당수가 실물자산을 중심으로 작성돼 있어 개발 부지에 대한 NPL 현황 파익이 쉽지 않은 실정디다. 개발부지를 대상으로 한 NPL 유입을 검토하고자 개발 NPL 관련 현황을 정리해봤다. 1. NPL (부실채권) 협상의 주체인 대주단 파악 대주단은 일반적으로 은행, 저축은행 또는 캐피탈사로 구성. 대주단은 선순위와 후순위로 구분. 선순위 채권단은 원금보존 혹은 일정 부분이자까지 고려해 협상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후순위 채권단은 원금에서 일정 부분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채권을 매각하려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음(배당순서가..